공유기 WI-FI
대부분 집에 인터넷을 사용하신다면 유무선공유기가 한대는 있을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각 통신사에서 대여를 하든 본인이 직접 구입해서 설치하든 말이죠.
유무선공유기의 무선은 안테나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전파를 전달하는데
건물 모양에 따라 공유기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장해물이 없는 곳과 있는 것에 따라
신호가 약해지는 음영지역이 발생이 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무선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방법 3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무선확장(멀티브릿지)
무선WAN
WDS(wireless distribution system)
꼭 알아두셔야 하는 것은 방법 3가지는 유선확장이 아니라 무선확장의 개념이라는 점입니다.
여기서 유선과 무선의 차이점을 이야기 하자면,
유선으로 사용할 경우 쌍방향 통신을 합니다.
즉,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가 있고, 케이블을 통해 통신을 하기 때문에
방해없이 빠르게 통신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무선인 경우에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를 쏘고 받고 합니다.
무전기 처럼 단방향 처럼 통신을 합니다.
어렸을때 즐겼던 종이컵 전화기 아시죠. 그것과 비슷합니다.
그래서 속도가 유선속도 절반 이하의 속도가 나오는 겁니다.
무선확장(멀티브릿지)
여분의 공유기가 있다면 무선확장을 하실수가 있습니다.
멀티브리지 기능은 유무선 공유기가 무선으로 다른 유무선 공유기 또는 AP에 연결되어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서브공유기는 무선허브역할을 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메인이 되는 공유기는 만지실 필요가 없고 새로 추가되는 확장용으로 사용하실 공유기만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유선을 연결하거나 2.4Ghz와 5Ghz 두개 모두 무선확장 설정을 하시면 루프가 생겨 네트워크가 먹통이 됩니다.
하나만 선택하여 설정하여야 합니다. 주의하세요!
PS. 공유기 기종이 동일하지 않아도 설정가능합니다.
무선WAN
역시 메인공유기 말고 여분의 공유기가 있다면 네트워크를 확장하실수 있습니다.
사용 가능한 AP나 다른 유무선 공유기의 무선 인터넷을 유선/무선 인터넷으로 재 공유 하고 싶을 경우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WAN을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서브공유기만 설정하시면 됩니다.
동일한 IP대역으로 사용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이론상 속도가 멀티브릿지보다 느립니다.
PS. 공유기 기종이 동일하지 않아도 설정가능합니다.
WDS(wireless distribution system)
역시 메인공유기 말고 여분의 공유기가 있다면 네트워크를 확장하실수 있습니다.
그런데 메인과 서브공유기 모두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둘다 WDS기능을 지원을 해야 합니다.
WDS(무선 유통 시스템)을 통해 ipTIME 유무선 공유기는 무선으로 다른 WDS가 지원되는 AP 또는 유무선 공유기와
연결되고, 여러 개의 AP 또는 유무선 공유기가 무선으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브릿지와 무선WAN은 IP이용한다고 보면 WDS는 MAC address를 사용합니다.
대역폭도 절반으로 줄어 들고요. 공유기가 동일 제조사가 아니면 제약도 있구요.
요즘엔 잘 사용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최근에는 무선브릿지와 메시라능 방법을 사용하구요.
메시는 유무선 전부 지원을 하기 때문에 체감적으로도 좋습니다.
그런데, 지원되는 기종을 새로 구입을 해야 하고
가격이...
PS : 게시글은 무선확장에 대한 방법론에 대해서 설명을 드린 내용입니다.
모든 제품에 대한 테스된 내용이 없는 관계로 제품별로 검색을 하셔야 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Photo 백업하기 (0) | 2021.02.02 |
---|---|
Adsense 로딩속도 및 티스토리 로딩 최적화 (0) | 2020.12.30 |
스마트폰 인터넷속도 빠르게 (0) | 2020.12.07 |
PC 모니터 해상도 동향 (4K 시대) (0) | 2020.11.25 |
Android 스마트폰 보호하기 (0) | 2020.11.18 |